IPv4 vs IPv6
구분 | IPv4 | IPv6 |
주소길이 | 32bit | 128bit |
표시방법 | 8bit씩 4부분 ex) 192.168.10.120 |
16비트씩 8부분 (16진수) |
주소개수 | 약 43억개 | 약 31조개 |
주소할당 | A, B, C, D, E 클래스 단위 비 순차적 할당 |
네트워크 규모 및 단말기 수에 따라 순차할당 |
품질제어 | 품질보장 곤란 | 품질보장 용이 |
헤더크기 | 용이 | 가변 |
전송방식 | MultiCast (group chat) UniCast (1:1) BroadCast (불특정 다수) |
MultiCast (group chat) UniCast (1:1) AnyCast (불특정 다수) |
비트연산자
연산자 | 연산내용 |
& | 두 비트가 모두 참이면 참 |
| | 두 비트 중 하나만 참이면 참 |
^(xOR) | 두 비트가 서로 다르면 참 |
~ | 비트 반전 |
TCP/IP 프로토콜, OSI-7 계층
모듈 사이의 결합도
결합도 | 내용 |
자료 결합도 (가장 좋다) | 모듈간의 자료(값)를 통해서만 모듈 상호 작용 발생 |
스탬프 결합도 | 모듈간의 배열이나 오브젝트, 스트럭쳐 등이 전달되는 경우 |
제어 결합도 | 값만 전달되는게 아니라, 제어 요소가 전달 되는 경우 |
외부 결합도 | 모듈에서 외부로 선언한 변수를 다른 모듈에서 참조 |
공통 결합도 | 전역변수를 참조 |
내용 결합도 (가장 구리다) | 다른 모듈 내부에 있는 변수나 기능을 또 다른 모듈에서 사용 |
공식: '테''스'형 '제' '외' 저래 '공'유랑 '내'가 닮았대
모듈 사이의 응집도
응집도 | 내용 |
기능적 응집도 (가장 좋음) | 모듈 내부의 모든 기능이 단일한 목적을 위해 수행 |
순차적 응집도 | 모듈 내에서 한 활동으로부터 나온 출력값을 다른 활동이 사용 |
통신적 응집도 | 동일한 입력과 출력을 사용하여 다른 기능을 수행 |
절자적 응집도 | 모듈 안의 구성 요소들이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
시간적 응집도 | 특정 시간에 처리되어야 하는 활동을 한 모듈에서 처리 |
논리적 응집도 | 유사한 성격을 갖거나 특정 형태로 분류되는 처리요소들이 한 모듈에서 처리 |
우연적 응집도 (가장 구림) | 모듈 내부의 각 구성 요소들이 연관이 없는 경우 |
암기 공식: '우'리 '놀'던 '시''절'에 먹었던 '통'통한 '순'대 '기'가막혔다.
교착상태의 필요충분조건
상호배제(Mutal Exclusion): 프로세스가 자원을 배타적으로 점유하여 다른 프로세스가 그 자원을 사용할 수 없음
점유와 대기(Hold & Wait): 한 프로세스가 자원을 점유하고 있으면서 또 다른 자원을 요청하여 대기
비선점(Non-Preemption): 한 프로세스가 점유한 자원에 대해 다른 프로세스가 선점할 수 없고, 오직 점유한 프로세스만이 해제 가능, 만약에 선점이라면 뺏어버리면 됨
환형대기(Circular wait):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 간 자원의 점유와 대기가 하나의 원형을 구성한 상태
프로세스 상태의 종류
비선점 스케줄링(이미 사용하고 있으면 선점할 수 없다)
- 우선순위 스케줄링: 우선순위가 높은것 먼저 처
- 기한부 스케줄링: 점유 가능한 시간을 정해둠
- 선입선출 스케줄링(FIFO) : 먼저 온거 먼저 처리
- 최단 프로세스 우선 스케줄링(SJF): 적게 걸리는거 먼저 처리
- 최고 응답률 우선 스케줄링(HRN): 경로 우대 사상, 오래 기다린 거에 우선순위 부여
선점 스케줄링(이미 사용하고 있어도 선점할 수 있다)
- 라운드 로빈 스케줄링(RR): 일정 시간씩 끊어서 돌림
- 최소잔여 시간 스케줄링(SRT): 실행시간 빠른거(적게 걸리는거) 먼저 집어넣음
- 멀티레벨 큐(MLQ): 여러개의 큐를 만들어서 프로세스에 따라 다른 우선순위의 큐에 배치
- 다단계 피드백 큐(MFQ): 일단 큐에 집어넣은 다음, 큐를 일정 시간마다 돌아디님
스크립트 언어
컴파일 언어(번역)
- 프로그램 전체를 처음부터 끝까지 해독해 목적코드로 만든 후 실행
- C, C++, COBOL, Ada, FORTRAN, PASCAL, 등
인터프리터 언어(통역)
- 프로그램 라인 단위로 한 줄씩 해석하고 바로 실행한다
- javascript, BASIC, LISP, 등
스크립트 언어
- 소스코드를 컴파일 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 내장된 번역기에 의해 번역되므로 바로 실행할 수 있다
- 인터프리터 방식의 언어를 보통 스크립트 언어라고 혼용하여 사용
- javascript, actionscript, jsp, perl, php, python, Ruby, 등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C언어 특강 1~4강 정리 (0) | 2024.09.10 |
---|---|
[정보처리기사] 2020년 1회, 2회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0) | 2024.07.23 |
[정보처리기사] 2020년 1회, 2회 데이터베이스 구축 (0) | 2024.07.22 |
[정보처리기사] 2020년 1회, 2회 소프트웨어 개발 정리 (0) | 2024.07.22 |
[정보처리기사] 2020년 1회, 2회 소프트웨어 설계 정리 (0) | 2024.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