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의 종류
순차코드 | 일정한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일련번호 부여 |
완전 순차코드 (중요 X) | 일정 간격으로 비어있는 번호를 부여 |
구분 순차코드 | 몇 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각 블록에 의미를 갖게 부여 |
십진 분류 코드 | 10진으로 분류하고, 다시 10진으로 분류 |
그룹 분류 코드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으로 구분하는 방식 |
표의 숫자 코드 | 중량, 면적, 용량, 거리 등을 코드화 하는 방식 |
연상 코드 | 코드값을 보면 대상을 연상할 수 있는 코드부여 |
합성 코드 | 두 개 이상의 코드를 조합하여 만든 코드 |
자료 흐름도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 설명 | 표기법 |
Process (프로세스) |
자료의 처리/변환 과정을 표현한다 | 타원형 안에 프로세스 이름 |
Data Flow (자료 흐름) |
자료의 흐름을 표현한다 | 화살표 위에 자료이름 |
Data Store (자료 저장소) |
파일, 데이터 베이스 등 저장소의 위치를 표현한다 | 짝대기 두개에 저장소 이름 |
Terminator (단말) |
자료의 출처와 도착지를 표현한다 | 직사각형 안에 단말 이름 |
GoF 디자인 패턴
1. 생성 패턴 5개
Factory method, Singleton, Abstract factory, Builder, Prototype
2. 구조 패턴 7개
Adaptor, Bridge, Composite, Decorator, Facade, Fly weight, Proxy
3. 행위 패턴 11개
Template method, Interpreter, Iterator, Command, Chain of Responsibility, State, Strategy, Mediator, Memento, Visitor, Observer
자료 사전 작성 규칙
기호 | 의미 |
= | 자료의 정의(A는 ~로 구성되어 있다) |
+ | 자료의 연결(A와 B를 연결) |
( ) | 자료의 생략(없어도 되는 자료) |
[ | ] | 자료를 선택(A이거나 B) |
{ } | 자료의 반복 |
** | 자료의 설명 |
미들웨어 종류
- 원격 프로시저 호출(RPC)
-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MOM)
- ORB (Object Request Broker)
- DB 접속 미들웨어
- TP 모니터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버스( ESB)
UI 설계 원칙
구분 | 의미 |
직관성 |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함 |
유효성 | 사용자의 목적을 정확하게 달성하여야 함 |
학습성 | 누구나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어야 함 |
유연성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하며, 오류를 최소화 하여야 함, 쉽게 바꿀 수 있다. |
XP(eXtreme Programming)의 5가지 가치, 애자일
- 의사소통 (Communication)
- 단순성 (Simplicity)
- 용기 (Courage)
- 피드백 (Feedback)
- 존중 (Respect)
UML - 구조적 다이어그램
- 클래스 다이어그램
-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 객체 다이어그램
- 컴포지트 구조 다이어그램
- 배포 다이어그램
- 패키지 다이어그램
UML - 행위 다이어그램
- 활동 다이어그램
- 유즈케이스 다이어그램
- 상태 다이어그램
- 시퀀스 다이어그램
- 커뮤니케이션 다이어그램
- 인터렉션 오버뷰 다이어그램
- 타이밍 다이어그램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2020년 1회, 2회 데이터베이스 구축 (0) | 2024.07.22 |
---|---|
[정보처리기사] 2020년 1회, 2회 소프트웨어 개발 정리 (0) | 2024.07.22 |
스크럼(Scrum) 기법 (0) | 2024.03.08 |
소프트웨어 생명 주명 주기(2) (0) | 2024.03.07 |
소프트웨어 생명 주명 주기(1) (0) | 2024.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