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 1장의 제목은 '함수의 기본 형태'로, 프로그래밍 문법의 꽃 '함수'에 대해 다루고있다.
중요한 내용이니만큼 천천히 정리하도록 하자.
그럼 정리 시작!
(☆)익명 함수(☆)
함수는 코드의 집합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며, 기본 형태는 다음과 같다.
fuction () {...}
함수를 사용하면 좋은점은 다음과 같다.
반복되는 코드를 한 번만 정의해놓고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므로 반복 작업을 피할 수 있다.
긴 프로그램을 기능별로 나눠 여러 함수로 나누어 작성하면 모듈화로 전체 코드의 가독성이 좋아진다.
기능별(함수별)로 수정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가 쉽다
<script>
// 변수를 생성
const 함수 = function () {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1')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2')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3')
}
함수() // 함수를 호출
console.log(함수) // 함수 자체도 단순한 자료이므로 출력할 수 있다
</script>
이름이 붙어있지 않은 함수를 익명함수라고 표현한다. 현재 코드에서 함수를 출력하면 f () {} 의 형태로 출력된다. 이때 () 앞에 등장하는 것이 함수의 이름이다.
익명 함수는 함수 자체가 식이므로 함수를 변수에 할당할 수 있고 다른 함수의 매개변수로 사용할 수도 있다.
선언적 함수
이름이 있는 함수를 선언적 함수라고 한다.
function 함수명() {...}
조금의 차이는 있지만 선언적 함수는 다음 코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let 함수명 = function () {...}
<script>
function 함수 () { // 익명함수처럼 const나 let을 이용해 할당할 필요가 없다.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1')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2')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3')
}
함수()
console.log(함수) // 출력을 해보면 이전과는 다르게 () 앞에 함수의 이름이 출력된다
</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