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05 - 1장의 내용을 정리해 보자.
05 - 1장의 제목은 '함수의 기본 형태'로, 프로그래밍 문법의 꽃 '함수'에 대해 다루고있다.
중요한 내용이니만큼 천천히 정리하도록 하자.
그럼 정리 시작!
(☆)익명 함수(☆)
함수는 코드의 집합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며, 기본 형태는 다음과 같다.
fuction () {...} |
함수를 사용하면 좋은점은 다음과 같다.
- 반복되는 코드를 한 번만 정의해놓고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므로 반복 작업을 피할 수 있다.
- 긴 프로그램을 기능별로 나눠 여러 함수로 나누어 작성하면 모듈화로 전체 코드의 가독성이 좋아진다.
- 기능별(함수별)로 수정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가 쉽다
<script>
// 변수를 생성
const 함수 = function () {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1')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2')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3')
}
함수() // 함수를 호출
console.log(함수) // 함수 자체도 단순한 자료이므로 출력할 수 있다
</script>
이름이 붙어있지 않은 함수를 익명함수라고 표현한다. 현재 코드에서 함수를 출력하면 f () {} 의 형태로 출력된다. 이때 () 앞에 등장하는 것이 함수의 이름이다.
익명 함수는 함수 자체가 식이므로 함수를 변수에 할당할 수 있고 다른 함수의 매개변수로 사용할 수도 있다.
선언적 함수
이름이 있는 함수를 선언적 함수라고 한다.
function 함수명() {...} |
조금의 차이는 있지만 선언적 함수는 다음 코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let 함수명 = function () {...} |
<script>
function 함수 () { // 익명함수처럼 const나 let을 이용해 할당할 필요가 없다.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1')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2')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3')
}
함수()
console.log(함수) // 출력을 해보면 이전과는 다르게 () 앞에 함수의 이름이 출력된다
</script>
기본적인 함수 예제
1. 윤년을 확인하는 함수 만들기
- 4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이다.
- 하지만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이 아니다.
- 하지만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이다.
명시적 함수를 이용한 기본 풀이
익명 함수(화살표 함수)를 이용한 풀이
2. A부터 B까지 더하는 함수 만들기
매개변수로 A, B를 입력받고 리턴값으로 A부터 B까지 더한 값을 출려하면 된다.
명시적 함수를 이용한 기본 풀이
익명 함수(화살표 함수)를 이용한 풀이
3. 최솟값을 구하는 함수 만들기
배열을 매개변수로 전달받는 것, for of 반복문을 활용한 것을 유심히 살펴보자!
명시적 함수를 이용한 기본 풀이
익명 함수(화살표 함수)를 이용한 풀이
05 - 1장 '함수의 기본 형태'의 첫 번째 내용 정리는 여기서 마무리하자.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의 형태와 사용법을 간단한 예제를 통해 살펴보았다.
내일은 함수의 기본 형태를 마저 살펴보도록 하자!
오늘 하루도 쌓였다.
'혼공학습단 11기(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공스] 05 - 2 '함수 고급' 정리(1) (1) | 2024.01.20 |
---|---|
[혼공스] 05 - 1 '함수의 기본 형태' 정리(2) (0) | 2024.01.18 |
[혼공스] 3주차 미션 (0) | 2024.01.16 |
[혼공스] 04 - 2장 연습문제 풀이 (0) | 2024.01.15 |
[혼공스] 04 - 2 '반복문' 정리 (0) | 2024.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