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lookup
nslookup 명령어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도구이다. 주로 DNS 서버를 통해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확인하거나, 반대로 IP 주소에 대응하는 도메인 이름을 찾을 때 사용된다.
Windows, Mac, Linux 어느 OS에서도 사용가능하다.
nslookup = ns(name server) + lookup(검색)
DNS 레코드?
DNS Record는 DNS 서버가 해당 패킷을 받았을 때 어떤식으로 처리할지를 나타내는 지침을 말한다.

잘 정리되어 있는 사이트 : 🌐 DNS 레코드 종류 ★ 완벽 정리
🌐 DNS 레코드 종류 ★ 완벽 정리
DNS 레코드 DNS Record는 DNS 서버가 해당 패킷을 받았을 때 어떤식으로 처리할지를 나타내는 지침을 말한다. 간단히 말하면 DNS 상에서 도메인에 관한 설정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련의 설정 문자라
inpa.tistory.com
Syntax
nslookup [호스트 이름 또는 IP 주소]
ex)

- [Server]: 사용되는 DNS 서버 정보를 나타낸다.
- [Address]: 사용되는 DNS 서버의 IP 주소이다.
- DNS 서버에 관한 정보는 사용하는 통신사(ISP)의 와이파이, 인터넷에 따라 다르다.
- DNS 서버의 작동 방식:
-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도메인 이름 입력.
- 브라우저는 운영 체제의 DNS 클라이언트(로컬 DNS 캐시)를 확인.
- 로컬 캐시에 없는 경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의 DNS 서버에 요청.
- ISP의 DNS 서버에서 결과를 찾거나 다른 DNS 서버로 요청 전달(재귀 요청).
- 권한 DNS 서버가 최종적으로 IP 주소를 반환.
- 반환된 IP 주소를 사용해 서버에 연결.
- DNS 서버에 관한 정보는 사용하는 통신사(ISP)의 와이파이, 인터넷에 따라 다르다.
- [Non-authoritative answer]: 공부해보기?
- [Name]:"naver.com"의 호스트 이름. - 중요 정보
- [Addresses]: "naver.com"의 IP 주소들. - 중요 정보
- 결과 4 개의 IP 주소가 있다. 이는 네이버의 웹 서버들의 IP 주소들로, 이런저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웹 서버를 4개로 병렬로 운영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DNS 서버 변경하기
초기에 설정되어 있는 해당 통신사의 DNS 서버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도 초기에 설정된 DNS 서버를 사용하면 사내망에 접속할 수 없었기 때문에 DNS 서버를 직접 변경 해주어야했다.
아래와 같이 DNS 서버를 수동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다른 DNS 서버를 이용할 수 있다.
1) 제어판에서 DNS 서버 변경하기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 연결 → 속성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IPv4) →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 기본 설정 DNS 및 보조 DNS 서버(선택) 입력


참고로 잘못된 DNS 서버 주소를 입력하면 인터넷 접속이 안된다. 따라서 수동으로 DNS 서버를 설정할 경우에는 DNS 서버의 IP 주소를 정확하게 입력해야 한다.
참고 사이트: